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 허브, 스위치, 라우터, WAP, 인터넷 공유기 차이

지안22 2023. 6. 8. 23:00

허브 hub

LAN에서의 연결된 포트 간의 통신(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나 허브는 특정 포트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된 모든 포트에 브로드 캐스팅을 보내게 되어,

1. 보안 문제가 생긴다

2.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여 대역폭이 낭비된다.

- 포트: Process 식별자

- 브로드 캐스팅: 모두에게 동일하게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

스위치 switch

허브와 기능은 동일하지만, 각 포트의 물리적 주소(MAC주소)를 학습할 수 있어 특정 포트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라우터 Router

허브와 스위치는 IP주소를 읽을 수 없어 LAN 내에서의 통신만 가능하다.

하지만 라우터는 IP주소를 읽을 수 있어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WAN)도 가능하다.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다.

라우터는 유선 연결만 가능하다.

- 게이트웨이 gate way: 다른 네트워크(LAN) 끼리의 통신(WAN)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

WAP (Wireless Access Point)

무선 장치가 인터넷에 결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라우터에 유선 연결해서 사용하면 인터넷 공유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보통 회사나 사무실에서 하나의 라우터에 여러 대의 WAP를 연결해서 사용한다.

(WAP 대신 WI-FI Router로 대체해서 사용해도 잘 동작하지만,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번거롭다.)

또한 기존 무선 신호를 확장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인터넷 공유기 WI-FI Router

내장 스위치가 있기 때문에 WAP와 달리 Ethernet 연결(유선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DHCP 도 내장되어 있고, 인터넷 포트가 있기 때문에 WAN 연결(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이 가능하다.

WAN 연결 시에는 인터넷 공유기가 공인IP, 사설IP주소를 저장해서 요청한 호스트를 구분한다.

- DHCP: 각 호스트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방식.

- 호스트: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 공인 IP: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IP. 중복 불가 (ex. OO고등학교 학생입니다.)

-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LAN)에서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한 IP. 동일 LAN 내에서는 중복 불가. (ex. O학년 O반 O번 입니다.)

그렇다면 인터넷 공유기도 하나의 호스트인데, 인터넷 공유기의 IP는 고정 IP 일까? 동적 IP라면 누구로부터 할당 받을까?

공인 IP

가정용 공유기의 경우 동적 IP를 할당받으며, 할당해주는 주체는 ISP이다.

기업용 공유기의 경우 고정 IP를 할당받는다.

사설 IP

인터넷 공유기의 사설 IP는 일반적으로 192.168.0.1로 고정되어있으며,

각 호스트의 사설IP 대역은 192.168로 시작됩니다.

 

 

https://youtu.be/1z0ULvg_pW8

https://www.youtube.com/watch?v=OxiY4yf6GGg&ab_channel=PowerCertAnimatedVideos

https://m.blog.naver.com/xcripts/70121283191

 

[보안NW] 공인IP, 사설IP, 고정IP, 동적IP 란??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내부망과 DMZ구간을 나누어서 내부관리계획을 세우고,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규정...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7BvzxbG4y3Y&t=405s